권수연 작가노트

Artist's Note.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만의 자리를 찾습니다. 이 자리는 개인적 공간이든 공공장소든 관계없이, 누군가가 앉아 있는 동안에는 그 자리를 함부로 침범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자는 우리의 정체성과 관계를 담아내는 중요한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각자에게는 ‘나의 의자’가 존재합니다. 저에게는 아르네 야곱센의 '다리가 세 개인 앤트체어'가 그러합니다. 이 의자는 처음에는 다리가 세 개로 설계되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다리가 네 개로 변경되어 대중의 사랑을 받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이유 중 낯설다는 이유는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수용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우리 모두가 다수와 소수의 경계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일깨워 줍니다.

대다수의 삶은 사회적 규범과 기대를 따르며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반면, 소수의 삶은 독창성과 개별적인 정체성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두 선택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상호 보완적입니다. 우리는 각자의 선택 속에서 서로 다른 존재로서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제 작품은 이러한 다수와 소수의 관계를 탐구하며, 우리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다름이 어떻게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의자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의 경험과 감정을 나누는 공간으로서, 공존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서로의 존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시각적 자극을 주고자 합니다. 

결국, 우리는 다수와 소수가 공존하는 사회 속에서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안에서 조화를 이루어가야 합니다. 이러한 탐구가 우리 모두에게 더 깊은 이해와 공감을 제공하길 바랍니다.




Humans instinctively seek out their own space. Whether in private or public spaces, no one can invade that space while it is occupied. From this perspective, the chair serves as an important medium that reflects our identity and relationships.

Everyone has their "own chair." For me, it's Arne Jacobsen's 'Ant Chair with Three Legs.' Initially designed with three legs, the chair was later modified to have four legs for various reasons, ultimately gaining public admiration. Among these reasons, the feeling of unfamiliarity symbolizes the fear of the unknown and the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reminding us that we all live on the boundary between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The lives of the majority follow social norms and expectations, offering stability. In contrast, the lives of the minority provide opportunities to explore individuality and unique identity. These two choices are not opposites but, in fact, complementary. In our respective choices, we live together as different beings.

My work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aiming to show how we are interconnected and how differences can harmoniously blend. A chair is not just a simple tool but a space where we share our experiences and emotions, representing coexistence. Through this work, I seek to visually stimulat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each other's existence.

Ultimately, in a society where the majority and minority coexist, we must acknowledge differences and find harmony within them. I hope this exploration provides us all with a deeper sense of understanding and empathy




_

학력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석사 수료


개인전

2024. 06 Co-existence, 스토리칸, 서울 

2023. 12 Something Casual, 아트스페이스 이색, 서울 

2022. 01 당신의 의자는 어떤 색인가요?, H contemporary, 분당 

2021. 01 오늘의 색깔, 서우갤러리, 서울


그룹전

2024 Goodbye2024 연말기획전, 포브갤러리,서울

2024 Filling, 포브갤러리, 서울
2024 소중한 사람을 위해, 플리옥션
2024 고택 아트페스타, 디자인 에보, 무주

2024 재생 Re:play, 주안미술관, 광주

2024 UNITED PROJECT ART, UNITED GALLERY, 서울

2023 제 6회 New thinking New art 신진작가 공모전, Gallery violet, 서울 

2023 연결짓다, Schengen gallery, 광주

2023 예술의 전당 청년상점, 예술의 전당, 서울

2023 2023 신진작가 공모 선정작가전 지금, 바로 여기, 그림손 갤러리, 서울

2022 WINDOW OF THE TIME, E-LAND GALLERY, 파주 

2022 Life with art, 신세계 영등포 까사미아, 서울  

2022 마중물아트마켓, 김리아갤러리, 서울 외 다수 


아트페어

2024 고택 아트페스타, 디자인 에보, 무주

2024 화랑미술제in수원,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2024 아트강릉24, 강릉아트센터, 강릉

2024 ART X SEOUL, COEX INTERCONTINENTAL SEOUL, 서울

2023 대구국제블루아트페어, 엑스코 서관1홀, 대구

2023 아트오일장 한남, 갤러리 아미디, 서울

2022 고택 아트페어, 디자인 에보, 전주


Education

Completed Master's coursework in Western Painting,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24. 06 Co-existence, StoryKhan, Seoul

2023. 12 Something Casual, Art Space Isek, Seoul

2022. 01  What Color is Your Chair?, H Contemporary, Bundang

2021. 01  Today's Color, Seou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

2024 Re, Jooan Museum, Gwangju

2024 UNITED PROJECT ART, UNITED GALLERY, Seoul

2023 6th New Thinking New Art Emerging Artist Contest, Gallery Violet, Seoul

2023 Connecting, Schengen Gallery, Gwangju

2023 Youth Shop at Seoul Arts Center, Seoul Arts Center, Seoul

2023 Here and Now, Gaeumson Gallery, Seoul

2022 WINDOW OF THE TIME, E-LAND GALLERY, Paju

2022 Life with Art, Shinsegae Yeongdeungpo Casamia, Seoul

2022 Prime the Pump Art Market, Kimria Gallery, Seoul, and many more


Art fair

2024 Gotaek Art Festa, Design Evo, Muju

2024 Art Fair in Suwon, Suwon Convention Center, Suwon

2024 Art Gangneung 24, Gangneung Art Center, Gangneung

2024 ART X SEOUL, COEX Intercontinental Seoul, Seoul

2023 Daegu International Blue Art Fair, EXCO West Hall 1, Daegu

2023 Art Market Hannam, Gallery Amidi, Seoul

2022 Gotaek Art Fair, Design Evo, Jeonju



INFO

주식회사 포브갤러리

대표 : 노태운ㅣ824-81-0324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4-서울강남-01614호


ADDRESS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55길 36, 1층

1F, 36 Dosan-daero 55-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HOURS

MON-THU 10am - 7pm

FRI-SUN 11am - 8pm


CONTACT

ceo@povgallery.com

+82 10 5854 4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