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배 작가노트

Artist's Note.

귀향, 잃어버린 사유(思惟)를 찾아서

 

문명이 가져다 준 귀향

객지에서 12년이라는 시간을 보내면서 고향의 기억을 저버릴 수 없었던 커다란 이유는 나의 유년기를 제주에서 보낸 영향 때문이다. 나의 자연환경에 대한 친근감은 언제나 고향의 향수로 다가온다. 이런 향수는 누구나 잠재되어 있는 귀향본능의 그리움으로 생각된다.

 

나는 한 동안 다중적 이미지에 고심했다. 문명 이미지와 자연 이미지를 한 화면에 드러냄으로서 자연에 대한 현대인의 이상(理想)을 주제로 진정한 인간성에 도달하고자 했다. 인간은 근원적으로 자연과 사회 속에서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만을 지향해도, 또한 사회만을 지향해도 삶의 부조리함을 느끼게 마련이다. 인간이 자연을 그리워하는 것은 인간은 원래 자연과 더불어 살았던 존재이고, 자연이라는 전체 속에 인간이라는 부분을 서로 융합하며 공생하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이 사회를 필요로 하는 까닭은, 사회란 존재와 존재를 이어주며 서로 필요한 능력을 교환하거나 필요한 것들을 공동으로 생산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인간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자연만을 생각하거나, 사회적 공동체만을 선택해서도 안 된다. 인간은 동시에 자연과는 왼손을, 사회와는 오른손을 잡고 울타리를 둘러쳐야 한다. 인간은 마음속에서 항상 연민을 갖고 있다. 그 연민 속에는 그리움, 향수, 회상 등의 미세한 감정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내가 객지에서 제주를 그리워한 것도 이 연민의 감정에서 촉발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주에 대한 나의 향수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 속에서 영글어진 가슴 속 무의식에서 표출된 것이다. 되새겨보면, 나의 작업은 향수의 중심에 있는 제주에서의 회고적 이미지와 젊은 날의 고향을 떠나 와서 느끼고 본 도시의 사회적 풍경의 이미지에 매달렸다. 캔버스의 풍경들은 외면의 풍경, 즉 자연적 풍경이거나 사회적 풍경이기도 하지만 자아가 만들어 낸 또 하나의 내밀한 풍경으로 탄생한다. 그러나 나의 작업들에 표현된 풍경 자체가 정작 자연에 대한 나의 원초적 이상향으로 귀결됨을 보고 내심 놀라기도 했다.

어쩌면 되돌아옴은 이미 도시의 사회적 풍경을 생각할 때 예상되었는지도 모른다. 아니 아름다운 자연과 그 자연에 내게 가져다주었던 행복한 향수 때문에 제주를 떠나는 순간 나도 모르게 이미 결정된 것일지도 모른다.

아니나 다를까 도시의 풍경을 내 정서와 하나로 융합하고자 작업에 만족하지 못한 스스로의 욕심 때문에 결국 제주로의 귀향을 선택하게 되었다.

 

 

돌과의 만남, 질긴 인연의 시작

떠날 때 보다는 돌아올 때가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했던가, 나는 결코 가볍지 않은 걸음걸이로 화산섬 돌의 나라에 다시 서게 되었다. 온 사방이 돌로 뒤덮인 검은 섬이 나를 객지로부터 끌어내린 힘은 어디에 있을까. 돌섬에 대해 낯설지 않은 나의 익숙함 때문일까? 떠날 때는 흔하디흔한 돌이 눈에도 차지 않았는데 십여 년을 훌쩍 넘긴 귀향길에는 그것이 왜 친근감이 들었을까? 이것은 단순한 향수병 증세 탓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나에게 돌은 우연히 놓여지거나 거리를 두고 쳐다보는 사물이 아니다. 제주로 돌아오면서부터 생각하게 된 돌의 이미지는 단순히 조형적 언어만으로 표현되어 질 수 있는 대상체가 아니었다. 그것을 객지의 고된 생활로 인해 잃어버렸던 과거의 시간으로 유도하는 안내자이자 유년의 삶의 기억이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체로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제주의 역사와 제주인의 삶을 지탱해온 근원적인 공동체의 상징물로 인식되었으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내표된 시간을 넘어선 엉겹의 대상체로 각인되었던 것이다.

 

제주는 유독 바람이 많은 고장이다. 바람은 해류에 힘을 모아주며 해안의 돌을 세월 속에 잉태하게 해준다. 그 돌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반복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면서, 그리고 물리적인 힘에 의해 서로 엉키는 과정 속에 외관의 형태는 조금씩 깎여 나가고 그 모습은 변형이 된다. 그러나 돌의 근본적인 물질성은 변함이 없다. 모든 형상적인 모습은 시간에 의해 변하지만 그렇다고 그 본질은 시간이 흘러도 변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돌로부터 시간 앞에 놓인 인간의 생로병사에 대한 진리를 배운다. 형상은 변해도 본질은 변하지 않게 하는 그 힘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또한 전체적인 외형의 모습은 변함이 없어 보이나 군집형태를 이루는 돌들은 매순간 자리를 이동하면서 항시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선다.

 

과연 인간의 삶의 방식도 이러한 모습이 아닐까…

인연이란 생각하지 않아도, 생각나지 않아도, 생각할 수 없어도 이루어진다.

나의 귀향은 돌과의 인연으로 귀결된다.

 

 

돌의 미학, 관념에 의해 소생한 풍경

다양한 삶의 가치판단 아래 지속적으로 존재해 온 이 대상체(돌)는 보편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일반적 물질로 전락해 버렸다. 과거 제주인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만큼 중요하게 사용되었던 돌들은 땅의 구획을 구분하는 돌담으로, 건축물 시공의 주요한 재료로, 그러다 못해 정원의 조경을 위한 조경석으로 까지 그 사용 용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돌의 사용목적에만 관심이 있을 뿐 이것에서 논할 수 있는 그 이상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나는 미학적으로 돌의 이미지를 의식하며 그것의 존재의미를 생각해 본다. 내가 생산하는 돌의 이미지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과거로의 여행을 안내하고 현대인들에게 잃어버린 사유를 찾는 의미소통체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근간에 제작되고 있는 내 작품들은 모노톤을 이용한 극사실적인 기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모노톤을 주로 사용한다고 해서 색면회화에 있어서 색에 대한 사고의 판단 정지를 추구했던 비색주의와 구성의 질서를 추구하는 전통적 미술개념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전체주의적(Wholistic) 관점과 다르며, 단순히 자연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의 일상을 주제로 삼는 정태적(情態的) 사실주의(Realism)와도 거리가 있다.

하이퍼리얼리즘 형식을 통해 표현된 화면에서 소재의 표현으로 인해 드러나는 물질성도, 감각적 인식의 정체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안에는 색도, 생명도, 느낌도 없다. 감각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회화기법을 자제함으로서 도시의 차가운 관념만을 남기고 있다.

모노크롬 형식을 이용한 무감정의 화면, 프린터 및 사진기법을 응용한 차가운 기법, 이것은 이미 화면의 존재가치를 부정함으로서 이미지가 허상임을 암시한다.

흑백으로 생성된 화면들은 흑백사진의 영상처럼 과거로의 여행을 위한 매개체이며 다큐멘터리 영상처럼 보는 이에게 기억의 시간으로 여행을 유도하는 안내자의 기능을 담당할 뿐이다.

 

현대회화에 있어서 이미지는 화면 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 감상자의 마음속에서부터 시작되고 인식되어지는 것이다. 이미지는 현대인에게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는 하나의 매체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미지 소통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각적 사고의 영역을 확장 해 왔다.

회화는 표현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미지 표현의 방법론은 다양하게 변화하였고 특히, 20세기를 거치면서 이미지 표현은 커다란 방향 전환을 가져왔다.

싸르트르(J.P. Sartre)는 ‘이미지의 존재 자체는 의미 지시작용에 의존하며 회상과 유사성을 인정하나, 이미지는 물체가 아닌 의식의 작용이라는 점에서 회상과 구별 된다’고 정의한다. 즉, 이미지는 경험을 통한 내면적 지각에의 잔상(殘像)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 작업은 이미지가 인간의 시각적인 인식에 의해 어떠한 상상적 의미작용을 남기고, 어떠한 의사소통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이 된다. 이미지는 우리에게 시각적 대상으로 보이지만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상상적 의미작용만이 있고,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 이미지가 언어로서의 특징을 갖는다면, 다시 말해 작품에서 이미지가 언어적 역할을 담당한다면, 이것은 무엇보다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의사소통의 기능을 바탕으로 작가의 메시지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와의 관계성 연구는 나의 작품제작에 기초를 두는 연구방향으로 사물에 대한 시각적 대상들을 의식 속에서 재구성하고 지속적으로 방법론을 확대함으로서 이미지의 새로운 표현 형식의 범위를 넓혀나가고자 한다.

 

나의 화면에 표현된 다양한 이미지는 물질적 물성이 아니라 관념적 개념의 언어로 표현되는 하나의 소재에 불과하다. 이는 화면표현에 있어 의미전달 체계에 필요한 구성요소로 화면제작에 필요한 조형적 언어에 돌이라는 물질의 형상만을 삽입함으로서 소재가 갖는 실존성이 아니라 재편집된 이미지에 의해 허구적 사실성을 부각시키는 데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 즉, 허구적 사실성이란 작가의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가 관객의 시각에 의해 반영되었을 때 실존하는 하나의 사실로 받아들이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서 작가의 상상으로 제작된 허상적 풍경이 관객의 기억 속에 저장된 이미지가 관객이 설정한 미의식과 일치되었을 때 관객은 사진을 바라보는 것처럼 사실화로 착각을 일으킨다.

자신이 보는 이미지를 본능적으로 의식 속에 간직하게 되고 그것은 사물에 대한 지각방식과 일치할 때에 비로소 내용 속에 융해되게 된다. 이렇게 받아들여진 인식은 관람자의 시선이 다른 각도로 이동한 순간, 이미지는 기억 속에 저장된 하나의 이미지로만 존재하게 된다. 이미지란 인간의 시각과 인식에 의해 생성되고 소비되는 하나의 기호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이미지의 존재는 사라지고 인식에 의한 의미소통만 남는 것이다.

 

1960년대 중반 모더니즘을 통해 수립된 고급문화의 엄격한 구분과 예술 각 장르간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로 형성된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대두 이래 모든 문화예술의 정체성은 그 어느 때 보다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장르간의 영역이 파괴도고 독립성이 사라지는 가운데 현재의 예술장르는 서로를 의지하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과 더불어 폭 넓은 실험정신과 지식개발은 필연적인 과제일 것이다.

 

 

잃어버린 사유를 찾아 나에게로 다시 떠난다.

일상에 얽힌 삶에는 사유의 시간이 그리워진다. 사유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내가 소생시키는 나의 관념의 풍경들에게도 그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실천이다. 사유가 없는 삶은 초라하다. 사유란 나로부터 타인까지, 그리고 우리들에게 진정으로 이 세상의 아름다움을 찾게 해 주는 소통이다. 그리고 다른 이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자기 스스로가 실현하는 예술 행위에 다름 아니다. 사유는 존재의 관념을 빛나게 해준다. 사유는 예술의 방향성을 결정할 길을 알려준다. 그러나 사유의 모든 것은 나로부터 시작되고 나로부터 끝난다. 그러나 사유의 결과물은 타인을 위해, 사회를 위해, 그리고 대중을 위해 남겨진다.

 

2006. 4

문 창 배

_

학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학과 졸업 및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양화학과 졸업


개인전

2000 제 1회 개인전 (종로갤러리, 서울)

2002 제 2회 개인전 (갤러리 상, 서울)

2005 제 3회 개인전  ‘시간-역사-이미지’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2006 제 4회 개인전 (인사아트플라자 갤러리, 서울)

         제 5회 개인전  ‘잃어버린 사유(思惟)를 찾아서’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제 6회 개인전  ‘OPEN STUDIO FESTIVAL - 문창배 오픈 슈트디오 (제주)

2007 제 7회 개인전 - 현인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현인갤러리, 제주)

         제 8회 개인전 - 갤러리 The-K 기획초대전 (갤러리 더 케이, 서울)

2008 제 9회 개인전 - 서울국제현대미술축전 (COEX 장보고홀, 서울)

         제10회 개인전 -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진흥본부 기획․초청전 (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제주)

2009 제11회 개인전 - 갤러리 HARU 기획․초청전 (갤러리HARU, 서귀포)

         제12회 개인전 - 갤러리 쌈지 기획초대전 (갤러리쌈지, 서울)

         제13회 개인전 - 아트 인 컴퍼니 기획초대전 (신한은행 PB센터 갤러리,  서울)

2010 제14회 개인전 (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제주)

         제15회 개인전 - 정구찬갤러리 기획초대전 (정구찬갤러리, 용인)

2011 제16회 개인전 – 연갤러리 기획초대전 (연갤러리, 제주)

2012 제17회 개인전 – 제주돌문화공원 기획초대전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제18회 개인전 – 갤러리카페 ‘올리브’ 기획초대전 (갤러리 카페 올리브, 제주)

2013 제19회 개인전 – 제2회 제주초계청년미술상 수상 기념 초대전 (초계미술관, 제주)

         제20회 개인전 – ‘시간-이미지’ (연갤러리, 제주)

2014 제21회 개인전 - 중국양주건립 2500주년 한국화가 초청전 (중국양주대명예술관, 중국)

2015 제22회 개인전 - 제주연갤러리 기획초대전 (연갤러리, 제주)

2016 제23회 개인전 - 비오토피아갤러리 특별기획초대전 (비오토피아갤러리, 제주)

         제24회 개인전 - 하얏트리젠시제주 ‘문창배 작가 초대전’ (하얏트리젠시, 제주)

2017 제25회 개인전 (Galerie Etiennne de Causans, 프랑스 파리)

         제26회 개인전 -  ‘문창배 전’-제주비엔날레 연계전시 (아라리오 뮤지움, 제주)

2021 제27회 개인전 - ‘時間’ 문창배 초대전 (한라일보사, 제주)

         제28회 개인전 – 예술공간이아 선정작가전 (예술공간이아, 제주)

2022 제29회 개인전 – 갤러리디몽 초대전 (갤리리디몽, 제주)

2023 제30회 개인전 – ‘섬-이야기’전 (명도암갤러리, 제주)

2024 제31회 개인전 – ‘섬의 언어’ 더라라갤러리 초대전 (더갤러리라라, 서울)


그룹전

1997  차세대 유망작가전(인터갤러리, 서울) 

1998  바람의 흔적 - 재경한라미술인협회 창립전 (도올갤러리, 서울)

1999  21세기를 여는 한국정예작가초대전 (월간미술문화주최, 서울시립미술관)

        차세대 작가를 통해 본 “Vision 21"전 (성신여자대학교 주최, 성신여자대학교 미술관)  

2000  ‘인간의 숲, 회화의 숲’ 광주비엔날레 기획전 (광주비엔날레주최, 광주)

2001  대한민국 청년작가 미술축전 (한국미술협회주최, 서울시립미술관 600년기념관)

2002  INTERNATIONAL FLAG ART FESTIVAL-2002 FIFA 한․일 월드컵 공식문화 행사(상암동 월드컵 공원, 서울)

        ‘아시아의 새로운 도약’전 (극동아시아미술교류회주최, 주한일본대사관 Silk Gallery)

2003  한국․필리핀 MULTI GROUP SHOW (KIFA/한국국제미술연구회 주최, ANELES CLARK MUSEUM)

2004  바람의 신화 2004’ 제주현대미술전-제주문화진흥원 초청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2004 (대구광역시주최, 대구문화예술회관)

2005  ‘아시아 미술’전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2006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2006 (대구광역시주최, 대구문화예술회관)

2007  갤러리 다 기획초대전-‘현대미술의 바람과 물결‘전 (갤러리 다, 서울)

2008  한․인도 국제 교류전-‘닮음과 다름’전 (랄리트까라 아카데미미술관, 뉴델리, 인도)

2009   ‘또 하나의 일상-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전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성남)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Ⅱ - 극사실회화’전 (김해문화의 전당, 김해)

2010   6.25전쟁 60주년기념미술대전 (서울갤러리/전쟁기념관, 서울)

        방방곡곡99 - 삶과 기억의 소통 (영은미술관, 경기)

2011   바람결의 제자들 (인사아트센터, 서울)

        ART WIDE 2011전 - 미술과 비평 기획전 (안산단원전시관, 안산)

        대한민국 남부국제현대미술제 (한국소리의 전당 전시실, 전주) 

2012   고암과 오늘의 시대정신전 (고암 이응노생가 기념관, 충남 홍성)

        공존과 소통전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2013   중국양주시 초청전 – ‘동방동방’전 (중국양주시 미술관, 중국)

2014   한국구상미술의 초대전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동․서의 꿈 아트페스티벌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5   아트&아시아 제주 2015 쇼케이스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

2016   용의비늘 2016 (예술의전당, 서울)

        ART COSMOPOLITAN 2016 JEJU (제주신라스테이, 제주) 

2017   2017 GRAND PALAIS Salon des Artistes Independants (그랑팔레, 파리)

       모든 것을 기억하는 물 - 김창렬미술관 기획전 (김창렬미술관, 제주)

2018   제주기행-길에서 만나다 (서귀포예술의전당, 서귀포)

2019   한국미술리더전 (피카디리국제미술관, 서울)      

2019 AIAM 에스프리누보전 (conseil Gallery, 서울)

2020  힘내라 대한민국-미술로 하나되다 (한국미술관, 서울)

2021  재현과 재현 (롯데백화점 동탄점, 롯데갤러리)

       엄마! 가짜라서 미안해요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22  TRICK OF THE EYES –극사실주의 기획전 (레지스트리 리본, 호반문화재단 주최)

그 외 초대전 및 단체전 350여회


수상

1997 제 6회 MBC미술대전 ‘특선’ (MBC문화방송주최, 예술의전당)

제 8회 미술세계대상전 ‘우수상’ (미술세계주최, 서울시립미술관)

1999 제10회 미술세계 대상전 ‘우수상’ (미술세계 주최, 서울시립미술관)

2000 제36회 경기미술대전 ‘특선’ (경기도 미술협회주최, 경기문화예술회관)

제 5회 소사벌 미술대전 ‘우수상’ (평택미술협회주최, 평택문화예술회관)

제29회 구상전 ‘신한상’ (구상전주최, 국립현대미술관)

2002 제 7회 소사벌미술대전 ‘대상’ (평택미술협회주최, 평택호예술관)

2004 제30회 제주도 미술대전 '대상‘ (제주예총주최, 제주도문예회관)    

2005 제31회 제주도 미술대전 '대상‘ (제주예총주최, 제주도문예회관)

2007 제주청년작가전 우수작가 선정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진흥원, 제주)

2010 제8회 겸재진경미술대전 ‘특선’ (서울강서문화원, 서울)

2012 제2회 제주초계청년미술상 ‘대상’ 수상 (초계미술관, 제주)

      제1회 알파청년작가미술대전 ‘우수상’ (서울미술관, 서울)

2013 제주미술제 선정작가상 (제주미술제운영위원회 주최, 제주)

2015 제16회 순천미술대전 ‘우수상’ (순천미술대전 운영위원회, 순천)

2017 전국청년작가미술공모전 ‘선정작가상’ (남도문화재단 주최, 서울)

2019 제38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최우수상’ (한국미술협회주최,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그 외 다수 수상



기타 소장

미술은행(국립현대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서귀포기당미술관, 평택시청, 

이중섭미술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대학교 병원, 서귀포의료원, 제주돌문화공원, KBS제주방송총국,

제주신라스테이호텔, 라온리조트, 롯데리조트, 중앙대학교(총장, 부총장실), 중국 양주시,

아라리오 뮤지움 제주. 제주초계미술관, 호반문화재단, 개인소장 다수 등



Education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Western Painting, Chung-Ang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00 1st Solo Exhibition (Jongno Gallery, Seoul)

2002 2nd Solo Exhibition (Gallery Sang, Seoul)

2005 3rd Solo Exhibition Time-History-Image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06 4th Solo Exhibition (Insa Art Plaza Gallery, Seoul)

2006 5th Solo Exhibition In Search of Lost Thought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06 6th Solo Exhibition OPEN STUDIO FESTIVAL – Moon Changbae Open Studio (Jeju)

2007 7th Solo Exhibition - Opening Commemorative Invitation Exhibition (Hyunin Gallery, Jeju)

2007 8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 Exhibition (Gallery The-K, Seoul)

2008 9th Solo Exhibition - Seoul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COEX Jangbogo Hall, Seoul)

2008 10th Solo Exhibition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ulture Promotion Headquarters Planning/Invitation Exhibition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09 11th Solo Exhibition - Planned/Invitational Exhibition (Gallery HARU, Seogwipo)

2009 12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Gallery Ssamzie, Seoul)

2009 13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Shinhan Bank PB Center Gallery, Seoul)

2010 14th Solo Exhibition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10 15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Jung Goochan Gallery, Yongin)

2011 16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Yeon Gallery, Jeju)

2012 17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Obaekjangun Gallery, Jeju Stone Park, Jeju)

2012 18th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Gallery Cafe Olive, Jeju)

2013 19th Solo Exhibition – 2nd Jeju Chogye Young Artist Award Invitation Exhibition (Chogye Museum, Jeju)

2013 20th Solo Exhibition Time-Image (Yeon Gallery, Jeju)

2014 21st Solo Exhibition - Invitation Exhibition for the 25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Yangzhou, China (Yangzhou Daming Art Museum, China)

2015 22nd Solo Exhibition -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Yeon Gallery, Jeju)

2016 23rd Solo Exhibition - Special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Biotopia Gallery, Jeju)

2016 24th Solo Exhibition - Invited Exhibition at Hyatt Regency Jeju (Hyatt Regency, Jeju)

2017 25th Solo Exhibition (Galerie Etienne de Causans, Paris, France)

2017 26th Solo Exhibition - Moon Changbae Exhibition (Arario Museum, Jeju)

2021 27th Solo Exhibition Time Moon Changbae Invitation Exhibition (Halla Ilbo, Jeju)

2021 28th Solo Exhibition – Selected Artist Exhibition (Art Space IA, Jeju)

2022 29th Solo Exhibition – Invited Exhibition (Gallery Dimong, Jeju)

2023 30th Solo Exhibition – Island-Story (Myeongdoam Gallery, Jeju)

2024 31st Solo Exhibition – The Language of the Island (Gallery LARA, Seoul)


Group Exhibition

1997 Next Generation Promising Artist Exhibition (Inter Gallery, Seoul)

1998 Traces of the Wind - Reunification of Hanla Artists Exhibition (Doole Gallery, Seoul)

1999 Korea Elite Artist Invitational Exhibition Opening the 21st Century (Seoul Museum of Art, hosted by Monthly Art and Culture)

1999 Vision 21 Exhibi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Art Museum, hosted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0 The Forest of Humans, the Forest of Paintings Gwangju Biennale Special Exhibition (Gwangju Biennale)

2001 Korea Young Artists Art Festival (Seoul Museum of Art, hosted by Korea Fine Arts Association)

2002 INTERNATIONAL FLAG ART FESTIVAL - Official Cultural Event of the 2002 FIFA Korea-Japan World Cup (World Cup Park, Sangam-dong, Seoul)

2002 A New Leap of Asia Exhibition (Silk Gallery, hosted by the Far East Asia Art Exchange)

2003 Korea-Philippines MULTI GROUP SHOW (ANELES CLARK MUSEUM, hosted by KIFA/Korea International Fine Arts Research Association)

2004 Myth of the Wind 2004 Jeju Contemporary Art Exhibition - Invitation by Jeju Culture and Arts Promotion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04 Korea Youth Biennale 2004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hos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2005 Asian Art Exhibition (Jeju Culture and Arts Center, Jeju)

2006 Korea Youth Biennale 2006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hos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2007 Planned Invitational Exhibition Waves of Contemporary Art (Gallery DA, Seoul)

2008 Korea-India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 Resemblance and Difference (Lalit Kala Academy Art Museum, New Delhi, India)

2009 Another Everyday - The Past and Present of Hyperrealism Exhibition (Seongnam Art Center, Seongnam)

2009 The Flow of Korean Contemporary Art II – Hyperrealism Exhibition (Gimhae Cultural Center, Gimhae)

2010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t Exhibition (Seoul Gallery/War Memorial, Seoul)

2010 Life and Memory Exhibition (Young-Eun Museum, Gyeonggi)

2011 Disciples of the Wind (Insa Art Center, Seoul)

2011 ART WIDE 2011 Exhibition - Art and Criticism Planned Exhibition (Ansan Danwon Exhibition Hall, Ansan)

2011 Korea Souther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Sori Art Center, Jeonju)

2012 Spirit of the Times with Ko-Am Exhibition (Ko-Am Lee Ungno Memorial, Chungnam Hongseong)

2012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Exhibition (Ulsan Culture and Arts Center, Ulsan)

2013 China Yangzhou City Invitational Exhibition - East Dreams East Exhibition (Yangzhou Museum, China)

2014 Invitation Exhibition of Korean Realistic Painting (Ulsan Culture and Arts Center, Ulsan)

2014 Dream of the East and West Art Festival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2015 Art & Asia Jeju 2015 Showcase (Jeju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eju)

2016 Scales of the Dragon 2016 (Seoul Arts Center, Seoul)

2016 ART COSMOPOLITAN 2016 JEJU (Shilla Stay Jeju, Jeju)

2017 GRAND PALAIS Salon des Artistes Independants (Grand Palais, Paris)

2017 Water That Remembers Everything (Kim Chang-Yeol Museum, Jeju)

2018 Jeju Journey – Meeting on the Road (Seogwipo Arts Center, Seogwipo)

2019 Korea Art Leader Exhibition (Piccadilly International Art Museum, Seoul)

2019 AIAM Esprit Nouveau Exhibition (Conseil Gallery, Seoul)

2020 Cheer Up Korea - United Through Art (Korean Art Museum, Seoul)

2021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Lotte Gallery, Lotte Department Store Dongtan)

2021 Sorry, Mom! It’s Fake (Jeju Provincial Museum, Jeju)

2022 TRICK OF THE EYES – Hyperrealism (Registry Ribbon, hosted by Hoban Cultural Foundation)

Over 350 invitational and group exhibitions


Awards

1997 6th MBC Art Competition ‘Special Prize’ (MBC Cultural Broadcasting, Seoul Arts Center)

8th Art World Grand Prize Exhibition ‘Excellence Prize’ (Hosted by Art World, Seoul Museum of Art)

1999 10th Art World Grand Prize Exhibition ‘Excellence Prize’ (Hosted by Art World, Seoul Museum of Art)

2000 36th Gyeonggi Art Exhibition ‘Special Prize’ (Hosted by Gyeonggi Art Association, Gyeonggi Cultural Arts Center)

5th Sosabul Art Competition ‘Excellence Prize’ (Hosted by Pyeongtaek Art Association, Pyeongtaek Culture and Arts Center)

29th Figurative Art Exhibition ‘Shinhan Award’ (Hosted by Figurative Art Exhibition, National Museum



ETC.

Art Bank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Jeju Provincial Museum of Art,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gwipo Gi-Dang Museum of Art, Pyeongtaek City Hall,
Lee Jung-seop Art Museum, Jeju Cultural Found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gwipo Medical Center, Jeju Stone Park, KBS Jeju Broadcasting Station,
Shilla Stay Jeju Hotel, Raon Resort, Lotte Resort, Chung-Ang University (President’s Office, Vice President’s Office), Yangzhou City, China,
Arario Museum Jeju, Jeju Chogye Museum of Art, Hoban Cultural Foundation, numerous private collections, etc.


INFO

주식회사 포브갤러리

대표 : 노태운ㅣ824-81-0324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4-서울강남-01614호


ADDRESS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55길 36, 1층

1F, 36 Dosan-daero 55-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HOURS

MON-THU 10am - 7pm

FRI-SUN 11am - 8pm


CONTACT

ceo@povgallery.com

+82 10 5854 4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