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주 작가노트
Artist's Note.
잠시, 행복
고 은주 高銀珠
코로나 이후는 ‘불안의 시대’라고 말할 만큼 ‘불안’은 우리에게 거의 일상적인 개념이 되었다. 크게는 자연재해나 코로나19와 같이 우리의 생명조차 위협하는 재난적 상황이, 작게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점이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양자는 우열을 가릴 수 없이 우리를 억누른다. 철학자,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 1969∼ )은 『불안』에서 불안이 생기는 원인을 사랑결핍, 속물근성, 기대, 능력주의, 불확실성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면서, 우리의 삶은 불안을 떨쳐내는가 하면, 새로운 불안을 맞아들이고, 또다시 그것을 떨쳐내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말한다. 또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레나타 살레츨(Renata Salecl, 1962∼ )은 현대인의 불안은 공포와 연관된 감정이기보다는 제약없는 자유와 많은 선택의 기회 앞에서 심리적으로 마비되는 정신장애에 가까운 것으로, 불안을 부축이는 여러 대중 매체들로 인해 불안은 끊임없이 재생산된다고 말한다. 현대는 사회적 규제가 약해지고 개인의 자유가 늘어났음에도, 개인은 자신과 타인,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고독, 절망, 불안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시대의 불안은 주체의 행복은 물론이요, 더 나아가 생명까지 위협하는 문제이다. 그런데 첨단 과학시대에도, 이를 제거하거나 해소하기 위한 약이나 보험 등이 상품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극복되지 못해, 지금같이 기층문화로 여전히 존재하는 부적을 보면, 전통적인 주술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사람들이 여전히 상당히 많음을 보여준다.
본인의 작품은, 이러한 불안의 해결책으로 고대 공동체부터 오랜 역사 체험 속에 축적된 전통적인 기반 위에 뿌리를 둔 하나의 시도이다. 이전에는 한국 고대신화에 나타나는 꽃을 소재로 모성성母性性을 시각화한 작업을 하였지만, 두 아이의 조산이라는 예기치 않은 경험으로 2019년 시점부터 부적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이후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불안’이라는 우리 시대의 정서에 주목하게 되었다. 대중 매체들이 끊임없이 우리의 행동에 의문을 품게 하고, 그 염려가 더욱더 불안을 가중시킴을 보면서 우리의 조상들은 어떠했을까를 생각하며 우리 전통에 대한 관심이 더 배가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이렇게 일상적으로 생기는 자신과 가족의 안녕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부적에서의 보편적 상징성을 지닌 그림ㆍ문자ㆍ기호를 차용하여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려는 시도이다. 무속에서 사용되는 ‘설위설경設位說經’의 ‘종이 바수기(종이 오리기)’ 제작 방법에서 비롯된 대칭적 구도와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을 담은 오방색의 조합이 우리에게 정서적 균형과 안정감을 주는 한편, 종이오리기에서의 정신 집중은 오리기 대상과 하나가 되어 오히려 마음의 평정이 찾아왔다.
이렇듯이, 본인은 전통적인 기원문화의 ‘부적’, ‘설위설경’, ‘지화紙花’ 등을 예술적 도구로 차용하면서, 우리 전래의 보편적 상징성과 대칭 구도, 오방색의 조화로움이 오히려 예측 불가능한 불안의 시대를 사는 본인을 비롯한 현대인들의 삶을 위로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얻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그 차용의 폭과 그 해석을 확대함으로써 우리 조상의 마음을 알게 된 동시에 평온을 찾게 되었다. 그렇게 현대의 삶은 또 지속되고 있다.
_
개인전
2024 <WISH>|반도문화재단 아이비라운지갤러리, 화성
2023 <잠시, 행복>|갤러리DOS, 서울
2022 <마음안정>|궁평아트뮤지엄아카이브, 화성
2021 <Hidden Flowers>|후쿠오카아시안미술관, 일본
2021 <기원하다>|갤러리 한옥, 서울
2020 <습지 자연 관찰일기>|비봉습지공원 전망대, 화성
2020 <Hidden Flowers> |CICA 미술관, 김포
2019 <숨은꽃 찾기>|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17 <Pray For A Child> |갤러리 써포먼트, 서울
2015 <생명의 시론> | 자작나무숲 미술관, 횡성
2012 <열려진 생명의 시론> |한원미술관, 서울 외 총 18회 개인전
그룹전
2024 아트경기 런 페스티벌|갤러리끼, 파주
2024 Narrative : Endless Journey|이젤리갤러리, 부산
2023 아트경기 x ZERO BASE|서울옥션 강남센터, 서울
2023 뉴 본 아티스트|동탄아트스페이스, 화성
2023 아트 경기 UP |갤러리 끼, 서울
2022 뭄바이 비엔날레|Sir.J.J.School, 인도 뭄바이
2022 사회수다자들|조선대학교미술관, 광주
2022 La Vida Brillante|코리아하우스, 멕시코 과나후아토
2022 식물공감:자연을 들이다|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2022 이미지의 경계|한벽원미술관, 서울
2021 오산시립미술관 야외컨테이너전 쇼콘|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20 작가발굴프로젝트 SIMA FARM|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19 히든아티스트|DDP, 서울
2019 어제와 다른 내일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18 모란정원|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2018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
2018 Digital Era - Rediscovery of HANJI|LA 한국문화원, 미국
2017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Vol.2|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17 갤러리너트 선정 우수작가 2인전 |갤러리너트, 서울
2014 가헌 최완수 선생님 헌수전|아라아트센터,서울
2011 오늘의 한국화 다양성과 시대정신|현대갤러리, 대전
2010 畵歌_그리기의 즐거움 | 한원미술관, 서울
2010 I AND ME _ 한남대예술문화학과 전시기획팀 주최|스페이스 씨 ,대전
2007 Seoul - Beijing | 북경 공화랑, 중국
2007 지구의 기억 전 | 제비울 미술관, 과천
2007 그림으로 만나는 우리 동시전| 북촌 미술관, 서울 외 다수
기타경력
2024 서울로미디어캔버스 작가 선정|서울로미디어캔버스
2024 미르 아트공모전 우수상|곽재선문화재단
2024 어반브레이크 오픈콜 아티스트 선정|어반브레이크
2024 화성예술가 기획지원사업 선정|화성시문화재단
2023 아트경기 선정 작가|경기문화재단
2023 화성예술가 기획지원사업 선정|화성시문화재단
2022 화성예술가 활동지원사업 선정|화성시문화재단
2021 미술은행 선정|국립현대미술관
2021 오산시립미술관 쇼콘 작가 선정|오산시문화재단
2021 화성예술가 활동지원사업 선정 |화성시문화재단
2020 갤러리한옥 청년작가공모전 최우수상|(사)한국미술사연구소
2020 지역예술활동지원사업 선정|화성시문화재단
2019 정부미술은행 선정|정부미술은행
2019 신진작가발굴프로젝트 SIMA FARM 선정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2019 예비전속작가제 작가선정|(재)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체육관광부
2015 미술은행 선정 | 국립현대미술관
2014 아프라시압 궁전벽화 모사 프로젝트 참여| 동북아재단
2013 H-온드림 도전상 수상|현대자동차 정몽구 재단 외 다수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정부미술은행, 보령 Artbank, 곽재선문화재단, 홈플러스, 화이자 제약,
한국미술경영연구소, 랜덤하우스 코리아, 강남웨딩컨벤션, 소원화랑 외 개인소장
_
Wait, happiness
Go Eunjoo's high 銀珠
After COVID-19, "anxiety" has become an almost everyday concept for us to say that it is an era of anxiety. We are anxious that catastrophic situations that threaten our liv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COVID-19, ha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to a small extent. In a capitalist society, both sides suppress us regardless of ou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The philosopher Alain de Boton (born 1969) classifies the causes of anxiety in "Anxiety" into five categories: love deprivation, snobbery, expectation, meritocracy, and uncertainty, saying that our lives are a continuation of the process of shaking off anxiety, facing new anxiety, and then shaking it off again. Renata Salecl (born 1962), a Slovenian philosopher, says that anxiety in modern times is more of a mental disorder that is psychologically paralyzed in the face of unrestrained freedom and many opportunities for choice rather than an emotion related to fear, and that anxiety is constantly reproduced by various mass media that help them. In modern times, even though social regulations have weakened and individual freedom has increased, individuals are unable to shake off feelings of loneliness, despair, and anxiety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others, and groups. In this way, anxiety in our time threatens not only the happiness of the subject but also life. However, even in the age of advanced science, drugs and insurance to remove or relieve them are commercialized, but they are still not overcome, and the talisman that still exists as a basic culture shows that there are still quite a few people who are trying to stabilize their minds through traditional magic.
My work is an attempt based on the traditional foundation accumulated in long historical experiences from ancient communities as a solution to this anxiety. Previously, I was working on visualizing maternal instinct based on flowers that appear in ancient Korean myths, but due to the unexpected experience of premature birth of two children, I became interested in talismans from 2019, and since then, as I raised my children,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emotion of our time called 'anxiety'. As the mass media constantly questioned our actions and the concern added to our anxiety, I thought about what our ancestors were like, and my interest in our tradition doubled.
His work is an attempt to rethink the meaning of this everyday concern and anxiety about the well-being of himself and his family by borrowing pictures, letters, and symbols with universal symbolism in talisman. The combination of symmetrical composition derived from the method of making "paper basugi (paper origami)" of the "Sulhuiseolgyeong 設位說 Sutra" used in shamanism gives us emotional balance and stability, while the concentration of the mind in the paper originated from the object of origin and came to peace of mind.
In this way, by using traditional origin culture's wealth, Seolwi Seolgyeong, and Jihwa 紙 as artistic tools, I realized that the universal symbolism, symmetrical composition, and harmony of the five colors rather comfort the lives of modern people, including myself, living in an era of unpredictable anxiety, and gained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By expanding the breadth of the borrowing and its interpretation, I learned about our ancestors' hearts and found peace. Modern life continues like that.
__
Solo Exhibition
2024 <WISH> | Peninsula Cultural Foundation Ivy Lounge Gallery, Hwaseong
2023 <Pause, Happiness> | Gallery DOS, Seoul
2022 <Mind Stability> | Palace Art Museum Archive, Hwaseong
2021 <Hidden Flowers> | Fukoka Asian Art Museum, Japan
2021 <Wishful> | Gallery Hanok, Seoul
2020 <Wetland Nature Observation Diary> | Bibong Wetland Park Observatory, Hwaseong
2020 <Hidden Flowers> | CICA Museum of Art, Gimpo
2019 <Finding Hidden Flowers> | Dongduk Art Gallery, Seoul
2017 <Pray For A Child> | Gallery Support, Seoul
2015 <The Poetry of Life> | Birch Forest Art Museum, Hoengseong
2012 <Opened Poetry of Life> | Hanwon Museum of Art, 18 solo exhibitions outside of Seoul
Group Exhibition
2024 Art Stadium, Paju
2024 Narist: Endless, Busan
2023 Art Games x ZERO BASE 20 Seoul, Seoul
2023 New Year's Art Space, Mars
2023 Art Stadium in Seoul, Seoul
2022 Sir.J.J.School, India
2022 social number of students 2022 Chosun University Art Museum, Gwangju
2022 La Vida Brillanti Korea House, Mexico, Mexico
2022 The Museum of Art Museum, Icheon
2022 The boundary of 2022, Incheon Metropolitan Museum of Osan City Hall
2020 writer's foot project SIMA FARM수원 Suwon City Hall, Suwon
2019 HANDP, Seoul
2019 and other day, Yangpyeong-gun Art Museum, Yangpyeong-gun, Yangpyeong-gun
2018 Moan Garden 2018천,|관미술 이천, Icheon
2018 Jeollanam-do International Water Arts Center, Mokpo International Water Arts Center
2018 Digital Era - Redis
2017 Korean Art Center, Seoul Art Center, Seoul
2017 Two excellent writers of 2017, Seoul Gallery, Seoul
2014 Gheon Choi Wan Soo-soo, Seoul, Seoul
2010 Han Won Art Museum, Seoul
2010I AND ME_HIPM_HIPT, Daejeon and exhibition team
2007 Seoul. - Beijingo, China
2007 Before the memory of 2007 Earth's memory museum, Gwacheon
2007 A number of people who meet in 2007 painting in 2007 paintings and Seoul
Others
2024 Seoullo Media Canvas Writer Selection | Seoullo Media Canvas
2024 Mir Art Competition Excellence Award | Kwak Jae-seon Cultural Foundation
2024 Urban Break Open Call Artist Selection | Urban Break
2024 Hwaseong Artist Planning and Support Project Selection | Hwaseong Cultural Foundation
2023 Art Competition Selected Artist |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23 Hwaseong Artist Planning Support Project Selection | Hwaseong Cultural Foundation
2022 Hwaseong Artist Activity Support Project Selection Hwaseong Cultural Foundation in |
2021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selected by the Bank of Art
Osan City Art Museum 2021 Showcon Artist Selection | Osan City Cultural Foundation
2021 Hwaseong Cultural Foundation of | selected as a project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Hwaseong artists in 2021
2020 Gallery Hanok Youth Artist Contest Grand Prize | Korea Art History Research Institute
2020 Hwaseong Cultural Foundation in | selected for 2020 Regional Arts Activities Support Project
2019 Government Art Bank Selection | Government Art Bank
2019 Emerging Artist Discovery Project SIMA FARM Selected by Suwon City I'Park Museum of Art, |
2019 Preliminary Professional Writer Festival Artist Selection |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selected by the Bank of Art
2014 Afrasiab Palace Mural Project Participation | Northeast Asia Foundation
2013 H-On Dream Challenge Award | Hyundai Motor Company Chung Mong-koo Foundation and many others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t Bank, Government Art Bank, Boryeong Art Bank, Kwak Jae-sun Cultural Foundation, Homeplus, Pfizer Pharmaceuticals,
Korea Art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Random House Korea, Gangnam Wedding Convention, Sowon Gallery, and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