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민희 작가노트
Artist's Note.
지친 삶을 살아가다 잠시 여유를 갖게 돼 올려다본 하늘에 그리운 이를 떠올리게 하는 달이 떠 있었다. 달의 둥근 외형은 그 사람의 얼굴을 떠올리게 했고 은은한 달빛은 그 사람과 함께 했던 추억을 떠올리게 했으며 나와 내가 속한 세상에 아직 그 사람의 흔적 또한 남아있음을 느끼게 했다.
우리에게는 그리운 사람들이 있다. 보고 싶어도 만날 수 없고 만나고 싶어도 오지 않는, 그래서 같은 공간에 존재했었지만 그리움으로만 다가서야 하는 가슴에 뜬 달과 같은 사람 말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섬은 풍화와 침식에 의해 깎여 오랜 시간 바다에 떠 있는 외로운 존재로서 나 자신의 심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소재로 표현하였다. 섬의 마띠에르(matière)는 모델링 페이스트(modeling paste)라는 재료를 통해 쌓아 올리고, 때로는 긁어내고 깎는 표현방식으로써 상처받은 나 자신의 마음이었고 이러한 행위는 내 치유의 표현이 되었다.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바다는 내가 속해있는 사회를 의미한다. 그리움의 대상인 달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잔잔한 바다를 주로 작업을 하지만, 거친 파도를 표현함으로써 내가 속한 세상이 언제나 평온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2021년부터 시작한 <홍월(紅月)>을 비롯한 붉은색의 시리즈들은 그리움을 이야기하던 전 작품보다 조금 더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집중하기로 한 작품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죽음을 늘 입에 달고 살던 내가 살아가는 이유와 우울했던 삶을 지나 시시각각 변하는 여러 감정에 관한 이야기이며, 그 감정을 작품의 주조색으로 나타냄으로써 색에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홍월>에서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이라는 상징성을 통해 삶에 대한 강인한 욕구를 드러내고 원초적인 의미를 살려 태초의 제주섬의 탄생을 보여주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붉은 용암이 타오르며 모든 것을 녹이고 불태우지만 새롭게 탄생하도록 하여 생명력이 움트는 것을 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이 갖는 삶에 대한 욕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표현방식에서 <홍월>은 이전 작업인 <연월>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연월>은 풍경의 전체적인 표현이지만 <홍월>은 풍경의 일부인 대지를 집중적으로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이는 대지가 인간의 생명 존재를 상징하는 것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전통적 개념에서의 생명과 회귀, 또는 윤회에 관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최근 작업인 <Coastal color> 시리즈는 삶의 의지를 다졌던 <홍월> 시리즈에서 발전시켜 색채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더욱더 폭넓은 인간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를 작품에 드러냄으로써 삶을 살아가는 나날들의 소중함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While living a weary life, I found a brief moment of respite and looked up at the sky. There, I saw the moon, which reminded me of someone I deeply miss. The round shape of the moon evoked the image of their face, and its soft glow brought back memories we had shared. I felt that traces of that person still remain within me and in the world I inhabit.
We all have people we long for those we wish to see but cannot meet, those we wish to be with but who no longer come to us. They once shared the same space with us, but now they only approach us through longing, like a moon that rises in the heart.
The island depicted in my work symbolically represents my own feelings, as a lonely existence shaped and eroded by time and the sea. The matière of the island was built up with modeling paste, and at times scraped away or carved, as an expression of my wounded heart. This act became a process of healing for me.
The sea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my work signifies the society to which I belong. I often depict calm seas that allow the moon of longing to be clearly seen, but sometimes I portray rough waves to show that the world I live in is not always peaceful.
The <Red Moon (紅月)> series, which I began in 2021, marks a shift from my previous works that spoke of longing, toward focusing more on the life I live in the present. As someone who used to constantly speak of death, this series is about my reasons for living, the journey through a life once darkened by depression, and the ever-changing emotions I now experience. By using color as a central theme in these works, I sought to assign symbolic meaning to these emotions.
In <Red Moon>, the color red symbolizes a powerful life force, expressing a strong desire for life. It draws upon primal imagery to depict the birth of Jeju Island in ancient times. The red lava burns and melts everything in its path, only to give rise to new life. By using this color, I sought to symbolically represent humanity’s deep yearning for life.
In terms of technique, <Red Moon> employs the same methods as my earlier work, <Soft Moon>. However, whereas <Soft Moon> presented landscapes as a whole, <Red Moon> focuses on magnified depictions of the land itself.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earth as a symbol of human existence—reflecting traditional notions of life, return to the earth, and reincarnation: "from dust we came, and to dust we shall return."
My recent series, <Coastal Color>, builds upon the life-affirming themes of <Red Moon>, making more active use of the symbolic meanings of color. Through this series, I aim to explore a broader range of human emotions and share the preciousness of everyday life through my art, reflecting on the days we live.
_
개인전
2025 제7회 개인전 ‘감정의 조각’ (아트스페이스H, 서울)
2024 제6회 개인전 ‘열시 일분’ (갤러리 41, 서울)
2023 제5회 초대전 ‘그리고 그리다’ (문예회관 제1전시실, 제주)
2022 제4회 초대전 ‘홍연(紅聯)’ (프린트베이커리 센텀시티몰, 부산)
2022 제3회 개인전 ‘홍연(紅連)’ (델문도 뮤지엄, 제주)
2020 제2회 개인전 ‘달의 기억’ (예술공간 파도, 제주)
2019 제1회 개인전 ‘연월(戀月)’ (문예회관 제3전시실, 제주)
단체전
2025 언 땅이 녹는 시간 (인사아트센터 B1, 서울)
2024 CONTEMPORARY ART OF THE BEST JEJU ARTISTS (드림타워 갤러리라운지, 제주)
2024 JEJU STORY (ARTSPACE H, 서울)
2024 SUMMERTIME – It’s Youth (갤러리 초이, 서울)
2024 시대정신 (델문도뮤지엄, 제주)
2023 ‘낭만시대’ (컨벤시아갤러리, 인천송도)
2023 융(融), 섬의 연대기 (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2023 교환전 (Art Project Y, 서울)
2023 Breeze in Jeju (앙데팡당, 제주)
2023 시 시 시 : 세 개의 의미, 하나의 울림 (이중섭 미술관 기획전시실, 제주)
2023 LASP with The SHILLA (신라면세점, 제주)
2023 N번째 변곡점 (갤러리 소공헌, 서울)
2022 BTBA(Born To Be Art) (갤러리 몬도베르, 서울)
2022 EMPIRICAL LANDSCAPE (제주 드림타워 갤러리라운지, 제주)
2022 The Beginning (프린트베이커리 더현대서울, 서울)
2021 시간과 공간의 기억 (갤러리 레미콘, 제주)
2021 시대의 자화상 (델문도 뮤지엄, 제주)
2021 아트페스타 In 제주 ‘산지열전’ (산지천갤러리, 제주)
2021 샛보롬 미술시장 (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21 MZ Art, New open (갤러리 ED, 제주)
2020 나를 찾아줘 - 하지마, 하지마, 하지마 (델문도 뮤지엄, 제주)
2020 제주의 물 (제주대학교 박물관 기획전시실, 제주)
2020 일상에 예술을 담다 (김만덕기념관, 제주)
2020 아트제주스페이스 개관전 ‘섬의 유토피아(Utopia’s Utopia)’ (아트제주스페이스, 제주)
2020 ‘아트바이러스(Art Virus)’ (경민현대미술관, 경기)
2019 서귀포시 교육발전기금마련전 ‘카르페디엠:오늘을즐겨라’ (기당미술관, 제주)
2019 ‘Blah!Blah’ 일상의 소리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019 기해년 신년기획전 ‘도새기 해가 떴습니다’ (이중섭미술관 기획전시실, 제주)
2018 혼디사는세상 (김만덕 기념관, 제주)
2018 제24회 제주미술제 (문예회관, 제주)
2017 '그대 있어 행복한 세상' (기당미술관, 제주) 외 다수 (서울, 제주, 대구, 창원 등)
아트페어
2024 화랑미술제 in 수원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2024 뱅크아트페어 (SETEC, 서울)
2024 ART X Seoul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서울)
2023 ARTFORMOSA (에슬라이트 호텔, 대만)
2022 서울아트쇼 (삼성동 코엑스 A Hall, 서울)
2022 아트:광주:22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2022 뱅크아트페어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서울)
2021 아트제주 (메종글래드 제주호텔, 제주)
2021 국제호텔아트페어 (인터불고호텔, 대구)
2020 아시아프(ASYAF)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19 아트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018 아트제주 ‘제주작가 특별전’ (메종글래드 호텔, 제주)
레지던시
2024~2025 가나 장흥 레지던시 입주 작가
수상
2023 제29회 제주우수청년작가상 (제주문화예술진흥원, 제주)
방송
2024. 03. 04 KBS 문화스케치 [달, 마음을 비추다 – 화가 양민희]
전시기획
2022 ‘인류세 시대, 평화의 이름으로’ (제주국제평화센터 기획전시실, 제주)
작품소장
제주드림타워복합리조트, 제주경찰청, ㈜아트제주, 델문도 뮤지엄, 브로딕 제주 외 개인소장
_
Solo Exhibition
2025 7th Solo Exhibition Fragments of Emotion (Art Space H, Seoul)
2024 6th Solo Exhibition Ten Eleven (Gallery 41, Seoul)
2023 5th Invitational Exhibition And Then, Draw (Munye Art Center Exhibition Hall 1, Jeju)
2022 4th Invitational Exhibition Red Connection (紅聯) (Print Bakery Centum City Mall, Busan)
2022 3rd Solo Exhibition Red Link (紅連) (Delmoondo Museum, Jeju)
2020 2nd Solo Exhibition Memory of the Moon (Art Space Pado, Jeju)
2019 1st Solo Exhibition Soft Moon (戀月) (Munye Art Center Exhibition Hall 3, Jeju)
Group Exhibition
2025 The Time When Frozen Ground Melts (Insa Art Center B1, Seoul)
2024 CONTEMPORARY ART OF THE BEST JEJU ARTISTS (Dream Tower Gallery Lounge, Jeju)
2024 JEJU STORY (ARTSPACE H, Seoul)
2024 SUMMERTIME – It’s Youth (Gallery Choi, Seoul)
2024 Spirit of the Times (Delmoondo Museum, Jeju)
2023 Romantic Era (Convensia Gallery, Songdo, Incheon)
2023 Yung (融), The Chronicle of Islands (Stone Park Obaek Janggun Gallery, Jeju)
2023 Exchange Exhibition (Art Project Y, Seoul)
2023 Breeze in Jeju (Indépendant, Jeju)
2023 Poem · Poem · Poem: Three Meanings, One Resonance (Lee Jung Seop Art Museum, Special Exhibition Hall, Jeju)
2023 LASP with The SHILLA (Shilla Duty-Free, Jeju)
2023 Nth Turning Point (Gallery Sogongheon, Seoul)
2022 BTBA (Born To Be Art) (Gallery Mondober, Seoul)
2022 EMPIRICAL LANDSCAPE (Dream Tower Gallery Lounge, Jeju)
2022 The Beginning (Print Bakery, The Hyundai Seoul, Seoul)
2021 Memories of Time and Space (Gallery Remicon, Jeju)
2021 Portrait of the Times (Delmoondo Museum, Jeju)
2021 Art Festa In Jeju: Chronicle of Sanji (Sanjicheon Gallery, Jeju)
2021 Saetborom Art Market (Stone Park Obaek Janggun Gallery / Jeju Museum of Art, Jeju)
2021 MZ Art, New Open (Gallery ED, Jeju)
2020 Find Me – Don’t, Don’t, Don’t (Delmoondo Museum, Jeju)
2020 The Water of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Special Exhibition Hall, Jeju)
2020 Art in Everyday Life (Kim Man-duk Memorial Hall, Jeju)
2020 Opening Exhibition of Art Jeju Space: Utopia’s Utopia (Art Jeju Space, Jeju)
2020 Art Virus (Kyungmin Museum of Modern Art, Gyeonggi)
2019 Carpe Diem: Enjoy Today (Fundraising Exhibition for Seogwipo City Educational Development Fund, Gidang Art Museum, Jeju, 2019)
2019 Blah! Blah! Sounds of Everyday Life (Maison Glad Hotel, Jeju, 2019)
2019 Year of the Pig New Year Special Exhibition: The Year of the Wild Boar Has Risen (Lee Jung Seop Art Museum, Special Exhibition Hall, Jeju, 2019)
2018 Living Together in Harmony (Kim Man-duk Memorial Hall, Jeju, 2018)
2018 The 24th Jeju Art Festival (Munye Art Center, Jeju, 2018)
2017 A Happy World Because of You (Gidang Art Museum, Jeju, 2017)
Residency
2024–2025 Artist-in-Residence, Gana Jangheung Residency
Awards
29th Jeju Excellent Young Artist Award (Jeju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Jeju)
Media Coverage
KBS Culture Sketch "Moon, Reflecting the Heart – Painter Yang Minhee"
Curated Exhibitions
The Age of the Anthropocene, In the Name of Peace (Jeju International Peace Center, Special Exhibition Hall, Jeju)
Collections
Jeju Dream Tower Complex Resort,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rt Jeju Co., Ltd., Delmoondo Museum, BRODIC Jeju And various private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