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훈 작가노트

Artist's Note.


궤에는 괴가 있었을까? 제주에서는 반닫이장을 궤라 한다. 할머니의 궤에는 고운 한복이 있었고, 어머니가 사드린 맛난 과자와 사탕이 있었다. 궤에는 귀한 것, 그리고 소중한 것들이 들어간다. 우연히 청산별곡의 ‘괴’를 만났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디에다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맞아서 우노라. 청산별곡 속 ‘괴’는 사랑이었다.

어린 시절 지병으로 인해 혼자 지내왔던 시간, 나는 궤 속에 있는 아이였다. 보호받아야 할 아이, 엄마와 아빠 그리고 모든 이들이 꺼져가는 불씨처럼 소중히 여기는 아이. 그런 나의 궤속에는 늘 사랑이 괴어 있었다. 그리고 돌들이 서로 괴어 돌담이 되고 태풍을 이겨내듯 가족과 친구 그리고 이웃까지 나에게는 돌담마냥 괴일 수 있는 관계었다.

나의 어린 시절 도심을 떠난 외진 숲속, 궤와 같은 환경속에서 자랐다. 그로인해 자연과 어울려 지냈던 수많은 순간들을 기억한다. 나의 기억을 바탕으로 성인이 되어 살아가는 사회 안에서, 서로에게 괴여(기대어) 서로에게 괴(사랑)가 되는 사람들 간의 관계 그리고 소통에 주목해 본다. 그 속에서 삶의 의미, 사회 속 나의 가치를 찾는다.

나를 찾기 위하여 자연을 다시 상상하며, 본질을 향해 변형해 나가는 자연을 관찰한다. 사람은 ‘궤’를 추구하고 ‘괴’를 찾는다. 보장된 안전한 미래를 위해 개인의 이익에 집착한다. 하지만 톨스토이가 말한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의 해답처럼 우리의 진정한 궤는 ‘괴’ 사랑일 것이다. 개인의 만족이 아니라 공동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 자연으로 돌아가는 유일한 통로는 아닐까.


제주에서 나고 자라 늘 보고 자랐던 돌담, 식물 등을 단순한 형태와 색상으로 재구성합니다. 화면은 크게 돌, 식물, 색감으로 구성되어지고, 때로는 작품으로 대변하는 사건, 작업을 할 때의 감정에 따라 한가지 요소가 튀어나와 부각되기도 합니다.

돌들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서로 다른 모습으로 엉켜있거나 따로 떨어져 있으면서 한 사회를 구성해내 듯 화면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나뭇가지, 잡초 같은 식물들은 ‘주변 환경’을 나타냅니다. 돌담 주변 식물들은 얽히고설켜 외관상 방해 존재가 되기도 하지만, 돌담이 태풍에 넘어지지 않게 버티는 힘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화면 전체를 아우르는 색감은 ‘상황’과 ‘분위기’를 의미합니다. 스케치할 때 특정 사건을 떠올리고, 그 사건 속에서 느꼈던 감정을 색감으로 전달하려 합니다.


Was there "Goe" in the "Gwe"? In Jeju, a banjaji-jang (half-closing chest) is called a gwe. In my grandmother’s gwe, there was a beautiful hanbok, and in the gwe my mother bought for me, there were delicious snacks and candies. A gwe contains precious and cherished things. By chance, I encountered the "goe" in Cheongsan Byeolgok. "Where was the stone thrown? Who was it meant to strike? Neither to hate nor to love, I was struck and wept. Yalli-yalli yallasyeong yallari yalla.” The "goe" in Cheongsan Byeolgok was love. During my childhood, due to illness, I spent a lot of time alone. I was a child inside a gwe—a child who needed protection, a child whom my mother, father, and everyone around me cherished like a fading ember. Inside my gwe, love was always accumulated (goe). And just as stones stack upon each other to form a stone wall that withstands a typhoon, my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became goe to me, supporting me like a stone wall.

My childhood was spent in a remote forest, away from the city, in an environment like a gwe. Because of that, I remember countless moments spent in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those memories, as an adult living in society, I focus on relationships where people lean on (goe-yeo) one another and become goe (love) for each other, as well as on communication. Through this, I seek the meaning of life and my value in society. 

To find myself, I reimagine nature and observe how it transforms while remaining true to its essence. Humans pursue gwe and seek goe. They become obsessed with personal gain in the name of a secure and guaranteed future. However, just as Tolstoy questioned in What Men Live By, perhaps our true gwe is goe, which is love. Rather than pursuing individual satisfaction, seeking collective happiness may be the only way back to nature. 


I reconstruct the stone walls and plants I grew up seeing in Jeju into simple forms and colors. The composition is largely made up of stones, plants, and color. At times, depending on the events represented in the artwork or the emotions I feel while working, one particular element may stand out and be emphasized.

The stones represent people. Just as individuals intertwine or stand apart yet collectively form a society, the stones maintain balance within the composition.

The plants, such as branches and weeds, repres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lants around stone walls may appear as obstructions, but they also serve as forces that help the walls withstand typhoons.

The overall color scheme symbolizes situations and atmosphere. When sketching, I recall certain events and attempt to express the emotions I felt through color.


학력

제주대학교 미술학부 서양화전공


개인전

2024  From Emotion: mama (갤러리 엠, 서울)

2023 색채의 온도 (KBS제주방송총국 갤러리, 제주)


그룹전

2025 동물의 화원 (아트인명도암, 제주)

2024 천경자 탄생 100주년 특별전 ‘천재화가, 천경자를 기리고 그리다.’ (고흥아트센터, 고흥)

2024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24 제주4.3미술제 ‘봄은 불꽃처럼’ (산지천갤러리, 제주)

2023 체현된 풍경 (부미갤러리, 제주)

2022 경험적 풍경 (제주드림타워복합리조트 갤러리라운지, 제주)

2022 클라인의 병 (비오토피아 갤러리, 제주)


아트페어

2025 Art X SEOUL (신라호텔, 서울)

2024 서울아트쇼 (코엑스, 서울)

2024 아트페스타 제주 (ICC, 제주)

2024 뱅크아트페어 (SETEC, 서울)

2024 Art X SEOUL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서울)

2023 울산국제아트페어 (UECO, 울산)

2023 뱅크아트페어 (SETEC, 서울)


__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ine Arts, Western Painting Major


Solo Exhibition

2024 From Emotion: mama (Gallery M, Seoul)

2023 The Temperature of Colors (KBS Jeju Broadcasting Station Gallery, Jeju)


Group Exhibition

2025 The Garden of Animals (Art in Myeongdoam, Jeju)

2024 100th Anniversary Special Exhibition of Cheon Kyung-ja: Honoring and Remembering the Genius Painter (Goheung Art Center, Goheung)

2024 Gwanghwamun International Art Festival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Museum, Seoul)

2024 Jeju 4.3 Art Festival: Spring Like a Flame (Sanjicheon Gallery, Jeju)

2023 Embodied Landscape (Bumi Gallery, Jeju)

2022 Experiential Landscape (Jeju Dream Tower Complex Resort Gallery Lounge, Jeju)

2022 Klein Bottle (Biotopia Gallery, Jeju)


Art Fair

2025 Art X SEOUL (Shilla Hotel, Seoul)

2024 Seoul Art Show (COEX, Seoul)

2024 Art Festa Jeju (ICC, Jeju)

2024 Bank Art Fair (SETEC, Seoul)

2024 Art X SEOUL (InterContinental COEX, Seoul)

2023 Ulsan International Art Fair (UECO, Ulsan)

2023 Bank Art Fair (SETEC, Seoul)


INFO

주식회사 포브갤러리

대표 : 노태운ㅣ824-81-0324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4-서울강남-01614호


ADDRESS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55길 36, 1층

1F, 36 Dosan-daero 55-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HOURS

MON-THU 10am - 7pm

FRI-SUN 11am - 8pm


CONTACT

ceo@povgallery.com

+82 10 5854 4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