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용 작가노트
Artist's Note.
많은 사람들이 현실을 살아 가면서 마음속에 자신만의 이상을 꿈꾼다. 우리가 접하는 여러매체는
사람들이 이상을 꿈꾸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나는 그림을 그릴때 여러가지 종류의 즐거움을 느끼는데
그 중에 하나는 그림에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여러 소재들을 등장시키고 나만의 상상의 공간에 펼쳐놓는
것이다. 항상 나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그곳은 나의 '정신의 그릇'이 되어 그림을 그리는 그 시기의
내 인생이 나아가는 방향성을 나에게 제공하고 내가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공존하고 상생하는
세계의 질서가 적용되는 곳이 되어준다. 내가 그림안에 담아놓은 여러 이야기들은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조금씩 스며나오고 공감을 통해 꽃을 피운다.
평론글
헉슬리가 소설로 그려낸 바 있는 [멋진 신세계](1932)에는 몸에 해가 전혀 없고 모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전능한 약이 등장한다. 헉슬리는 이후에 환각체험을 하면서 ‘싸이키델릭’으로 대표되는
1960년대 하위문화의 고전이 된 [인식의 문]과 [천국과 지옥]을 발표 한 바 있다. 예술은 의식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인식의 문’을 여는 것이며, 이를 통해 진부한 현실은 ‘무한하고 신성한 존재로
나타날 것’(블레이크)이다. 헉슬리의 서신집인 [모크샤]에 의하면, 인간은 개인의 의식으로 이루어진
구세계와 그 반대편 대양에 있는 신세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잠재의식의 신세계는 결코 식민지가 되지
않으며, 탐험되는 경우도 지극히 드물고 대개의 경우 발견되지 조차 않고 있다고 한다. 신창용에게 회화는
이 광대한 미지의 영역으로 여행하는 수단이자, 그렇게 도달한 영역의 진면모를 보여줄 수 있는 강력한 방식이다.
- 이선영 미술평론가 -
Many people, while living in reality, dream of their own ideals in their hearts. The various media we encounter greatly help us in dreaming of those ideals.
When I draw, I experience many different kinds of joy. One of them is incorporating various elements from popular media into my artwork and unfolding them in my own imagined space.
That place, which always exists in my heart, becomes a "vessel of my spirit." It provides me with direction in life during the time I am creating, and becomes a space where all the people I love coexist and thrive, governed by a harmonious order of the world.
The various stories I embed within my artwork gradually emerg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bloom through shared empathy.
Critique
In Brave New World (1932), Aldous Huxley envisioned an all-powerful drug that causes no harm to the body and brings happiness to everyone. Later, through his experiences with hallucinogens, he published The Doors of Perception and Heaven and Hell, which became classics of the 1960s counterculture, often symbolized by the term “psychedelic.”
Art, for Huxley, is a way to open new "doors of perception" through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revealing the mundane reality as an “infinite and holy presence” (Blake). According to Huxley’s collected letters in Moksha, human beings live in an old world shaped by individual consciousness, but beyond it lies a new world—an oceanic realm of the unconscious.
This subconscious world, Huxley writes, is never colonized, rarely explored, and in most cases, never even discovered. For artist Shin Changyong, painting becomes a means of journeying into this vast, unknown territory—and a powerful way to reveal its true essence.
– Lee Sun-young, Art Critic
_
학력
2006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2003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4 갤러리 베누스 "물감이 머무는 곳에"(11.19 ~12.7)
2024 은갤러리 "painting trips"(6.8 ~ 6.28)
2023 통인화랑 "multiverse"(9.6 ~ 10.1)
그룹전
2025 통인화랑 "Virtual Reality World"(4.30 ~ 5.25)
2025 코엑스 "2025 화랑미술제"(4.16 ~4.20)
2023 아터테인 "연희아트페어 2025"(4.11 ~ 4.20)
2025 벡스코 "2025 BAMA"(4.3 ~ 4.6)
2025 뮤지엄 호두 "세상의 모든 드로잉 in 호두"(3.27 ~ 6.1)
2025 갤러리 333 "말해질 수 있(없)는 : Word (don't) come easy"(2.19 ~ 3.16)
2025 아터테인 "세상의 모든 드로잉"(2.7 ~ 2. 16)
2025 홍천미술관 "21의 전환, 팝과 미디어"(2024.12.13 ~ 3.16)
레지던시
2022 호반문화재단 H아트랩 입주작가, 서울, 대한민국
주요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시립 미술관, 수원 시립미술관, 오산 시립미술관 등
Education
2006 MFA in Painting,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03 BFA in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olo Exhibition
2024 Where the Paint Stays, Gallery Venus, Seoul, Korea (Nov. 19 – Dec. 7)
2024 Painting Trips, Eun Gallery, Seoul, Korea (June 8 – June 28)
2023 Multiverse, Tong-In Gallery, Seoul, Korea (Sept. 6 – Oct. 1)
Group Exhibition
2025 Virtual Reality World, Tong-In Gallery, Seoul, Korea (Apr. 30 – May 25)
2025 Korea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Korea (Apr. 16 – Apr. 20)
2025 Yeonhui Art Fair 2025, Artertain, Seoul, Korea (Apr. 11 – Apr. 20)
2025 BAMA (Busan Annual Market of Art), BEXCO, Busan, Korea (Apr. 3 – Apr. 6)
2025 All the Drawings in the World: In Hodoo, Museum Hodoo, Seoul, Korea (Mar. 27 – June 1)
2025 Word (Don’t) Come Easy, Gallery 333, Seoul, Korea (Feb. 19 – Mar. 16)
2025 All the Drawings in the World, Artertain, Seoul, Korea (Feb. 7 – Feb. 16)
2024–2025
Turning Point of 21: Pop and Media, Hongcheon Museum of Art, Hongcheon, Korea (Dec. 13, 2024 – Mar. 16, 2025)
Residency
2022 H Art Lab Artist-in-Residence, Hoban Cultural Foundation, Seoul, Korea
Selected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Seoul Museum of Art, Suwon Museum of Art, Osan Museum of Art, and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