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운철 작가노트
Artist's Note.
아이가 태어났다.
이 곳은 아이와 함께 있다.
땅을 발로 딛고 서서 이 곳을 보기 시작했다.
서 있는 키만큼 본 걸 그대로 보았다.
아이는 걷는다.
태어난 곳에서 다른 곳 사이 걷기 시작한다.
몰랐던 낯선 곳에 다가간다.
아이는 만나간다.
몰랐던 곳에서 다른 것을 만난다.
이미 있는 곳에서 다른 것과 닿고 가까워져 갔다.
아이는 생각한다.
이 곳에 자신이 있다고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자신이 있어 이 곳이 함께 있다며 웃는다.
만나서 닿은 게 닮고도 다르다고 생각한다.
아이는 알아간다.
생각하는 자신과 이 곳이 닮고도 다르다.
서로 멀고도 가깝게 이어져 있다.
이어져 돌고 있다.
아이가 사라진다.
아이는 있어 가고 오며 이 곳을 두고 생각한다.
자신이 태어나지 않았다면
자신이 이곳에서 사라진다면 이 곳은 어떨까
순간 눈물이 났다.
아이가 있다.
이 곳과 자신이 있다는 거에 놀란다.
알고 있던 이 곳이 얼마나 낯선지 달라졌다.
아이는 이 곳 건너에 있다.
작품 이야기
제 작업은 오랫동안 생각한 거로부터 시작합니다.
여기에 저와 더불어 누가, 무엇이, 어떻게 그러한 모습으로 있을 수 있냐는 끝없는 질문을 하며 알고자 노력을 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알게 된 제 다양한 관점과 더불어 놀라운 경험과 이어져 표현한 모습이 제 작품입니다.
있는 모습은 제가 있어 보고 알게 됩니다. 보는 제가 있고, 제가 본 게 있습니다. 그렇게 둘 이상 서로 마주하고 있습니다.
서로 있다는 사실이 거대한 전제로 있습니다.
누가, 무엇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있다는 것은, 둘 이상 있어 서로 마주하기에 상대적이고, 서로 닮고도 달라 유비적입니다.
저와 더불어 누구든, 무엇이든 상대적이고 유비적으로 있다고 생각합니다.
있는 모습은 없어져 가는 중이거나 없을 수 있으며, 없는 모습은 있어 가는 중 또는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향적 모습은 상대적인 관계로, 유비적인 관계로 멀거나 가깝게 이어져 있습니다.
이 모습에서 저 모습으로 둘 이상의 모습을 보이는 상대성, 이 모습에서 저 모습으로 닮고도 다르게 보이는 유비성,
여기 이 세계의 모습입니다.
_
학력
서강대학교 전문대학원 철학과 석사졸업
인천가톨릭대학교 전통종교미술학과 학사졸업
개인전
2024 c ; stand up for yourself, ㅁ, (갤러리오우도, 서울)
2020 c ; summer, (양출서울, 서울)
2013 empty interval, (갤러리더케이, 서울)
2008 clean, Cloud, (갤러리호시, 일본 동경)
단체전
2024 Goodbye2024 연말 기획전, 포브갤러리,서울
2024 SEEING, (덴아트갤러리, 인천 영종도)
2023 Eternal Moments, (갤러리그라프, 서울)
2022 갤러리 개관전, (Edition, 캐나다 몬트리올)
2022 Selasart International Visual Art Exhibition, (Ohana Cafe, 인도네시아 메트로)
2021 접점 / le point de tangente, (생겐갤러리, 광주)
2020 TRiCERA PRESENTS SPECIAL PROMOTION (Shinwa Auction, 일본 동경)
2018 길 위의 가치, (다산미술관, 전남 화순)
2017 알록달록 아메바 놀이터, (문화비축기지, 서울)
2016 Good 삶, 예찬, (상원미술관, 서울)
2014 그들이 보는 세상-세 개의 예민한 시선, (조선대학교미술관, 광주)
2011 The Blank, (키미아트, 서울)
2009 광주&서울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교류 N0...,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09 THE FORGOTTEN TIME, (Love2arts gallery, 벨기에 엔트워프)
2008 99Tents, 99 Dreams, One World, (좌우미술관, 중국 북경)
레지던시
2009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레지던시, (광주)
2008 하대리 여름숲속미술제 레지던시, (강원도)
_
A child was born.
This place is with a child.
Standing on the ground, I began to see this place.
I saw what I saw as much as I stood tall.
The child walks.
You start walking between your birthplace and other places.
He approaches a strange place that he didn't know.
The child meets.
You meet something else where you didn't know.
From where I was already, I touched and got closer to something else.
The child thinks.
I'm starting to think I'm here.
He laughs because he's confident that this place is together.
I think they are similar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hild gets to know.
This place is also different from what you think.
They are connected far and close to each other.
It's going around one after the other.
The child disappears.
The child is going and coming, thinking about this place.
If you weren't born
What if he disappeared from this place
There were tears in my eyes.
Have children.
I'm surprised that I'm here and I'm here.
It has changed how strange this place I knew.
The child is across from here.
A story of Works
My work starts with something I've thought about for a long time.
Along with me, I've been trying to find out by asking endless questions about who, what, and how can you be that way.
And it's my work that I've come to know, along with my various perspectives, that I've expressed in connection with my amazing experience.
I see and know what I am. I see myself, and I see what I see. That's how two or more face each other.
The fact that they are each other is a huge premise.
The fact that someone and something are in a concrete form is relative to each other because there are two or more, and they resemble each other and are different and ubiquitous.
Along with me, I think anyone and anything is relative and ubiquitous.
It may be on the way or not, and it may be on the way or not, and it may be on the way or not.
This oriented appearance is a relative relationship, leading far or close to a ubiquitous relationship.
Relativity that shows more than one from this to that, ubiquity that resembles and looks different from this to that,
Here's what this world looks like.
_
School
Graduated from Seo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hilosophy with Master's degre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Traditional Religion and Art, Incheon Catholic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20 c; summer, Seoul
2013 empty interval, (Gallery the K, Seoul)
2008 clean, Cloud, (Gallery Hoshi, Tokyo, Japan)
Group Exhibition
2023 Eternal Moments, (Gallery Graff, Seoul)
2022 Gallery Opening Exhibition, (Edition, Montreal, Canada)
2022 Selasart International Visual Art Exhibition, (Ohana Cafe, Indonasia Metro)
2021 Contact Point / Lepoint de tangente, (Sangen Gallery, Gwangju)
2020 TRiCERA PRESENTS SPECIAL PROMOTION (Shinwa Auction, Tokyo, Japan)
2018 Value on the Road, (Dasan Museum of Art, Hwasun, Jeollanam-do)
2017 Colorful Amoeba Playground, (Culture Stockpile, Seoul)
2016 Good Life, Praise, (Sangwon Museum of Art, Seoul)
2014 World They See - Three Sensitive Eyes, (Chosun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Gwangju)
2011 The Blank, (Kimi Art, Seoul)
2009 Gwangju & Seoul Museum of Art Creative Studio Exchange N0...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2009 THE FORGOTTEN TIME, (Love2arts gallery, Belgium)
2008 99 Tents, 99 Dreams, One World, (left and right Museum of Art, Beijing, China)
Residency
2009 Gwangju Museum of Art Creative Studio Residential, (Gwangju)
2008 Hadari Summer Forest Art Festival Residential City, (Gangwo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