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묵 작가노트
Artist's Note.
Still rock
• ' 박경묵의 <有形無形>작업은 형상의 본질과 해석하는 시점과 시간과 공간을 담은 형상에 관심을 둔 작업이다. 작업은 보이지 않는 공간 속에 들어가 무심코 보아왔던 풍경 중 ‘<돌, 바위, 암산>’등의 형상을 빌려 질서를 향한 사고를 통해 위에서 '무위'를 스케치 한다. 다시 말해 이는 바람을 머금은 대지와 암산, 나무는 단순히 멋져 보이는 자연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 형상을 통하여 바라보는 그동안의 시공을 비춰보게 한다.
• 묵암(still rock)은 이러한 오랜 시공간의 주름(역사)을 갖고 있으며 캔버스 위에서 기존의 형상과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멋’이라 보여지는 우리 삶의 몸부림으로도 나타내며, 가려진 풍경 또한 보여 지는 것이 다가 아니며, 멈추지 않기에 다음을 기대한다.
• 풍경의 소자연들은 “有形出於無形(유형은 무형에서 나온다)”은 옛 사람들의 철학적 미학적 사고와 연관 지어 볼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사고를 평면회화로 옮기기 위해 사생하였던 현장의 호흡을 캔버스에 조형성과 철학적 사고가 반영될 수 있게 손끝 넘어 정제 시켰다.
• 이는 캔버스에 담아 낼 형태와 형상으로 무형유형의 대한 고찰이며, 유형(有形)은 무형(無形)에서 나와서 마침내 무형으로 돌아가고, 색깔의 있음(有色)은 투명한 색(無色)에서 나와서, 마침내 색이 없음으로 돌아가니, 이에 바탕이 되는 무색(無)이 주인(主)이 되고 바로 눈앞에 존재하는(有)것은 다음이(客) 된다는 것을 인식하며 ‘우주같은 바위(默巖)’에 담아내고자 한다.
• 작가는 단순해 보이는 바위 형상을 물의 형상과 함께 드러내어 모던함으로 나타내었다.
• 단순해 보이는 구성이지만 시공만큼 묵직함과 깊이를 연출하기 위해 한지에 먹과 획을 기반으로 색상의 화려함을 절제한 작업에 힘을 싣기 위해 갈아놓은 먹을 쌓고 쌓는 행위로 기존의 동양화와 다른 느낌이 적묵법을 행한다. 바위 형상은 까맣고 검으나, 먹색으로만 정의 할수 없는 빛깔과 필력에 의해 생겨난 한지의 굴곡을 바탕으로 하였다. 먹의 결정체로 한지위에 수많은 붓질을 더욱 행하니 캔버스 위에 하나의 검은 소우주를 담아내고, 바탕에 우주라는 공간의 여지를 주었다.
• 즉, 이 작업들은 생성과 소멸, 삶과 죽음, 낮과 밤, 비움과 채움등 우주의 대비를 극대화하여 모던하면서도, 먹의 농담으로 수십번의 쌓고 쌓는 적묵법과 공간의 대비로, 현대와 고전 속에 새로움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_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 학과 졸업
개인전 (31회)
2024 黙巖全圖묵암전도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2023 松韻滿東海 展(한벽원미술관, 서울)
2023 Korean Art Lodon (mall galleries, london / England)
2023 붉고 푸름을 담다 (배다리 itta space작은미술관, 인천)
2022 돌 바람, 바다의 시간展(별빛미술관, 과천)
2021 still rock (갤러리H, 서울)
2021 春夢 (수호갤러리, 성남)
2020 黙巖 (이안아트스페이스, 서울)
2020 泊泫 靑靑何理 (인사아트센터 부산갤러리, 서울)
2019 泊泫 夢筆生花 (Galerie artpark, 카를스루에/독일)
2011 ‘眞無盡’展 (한원 미술관, 서울)
외 다수
단체전 (180회)
2024 우아한 돌 (이천시립미술관, 이천)
2024 삼룡휘 나르샤 (산목휘 갤러리, 부산)
2023 신도원도 (이천시립미술관, 이천)
2023 띠 그림전 토끼 (이천시립미술관, 이천)
2022 울산아트페어(울산전시컨벤션센터, 울산)
2022 김창열오마주 展(롯데백화점수호갤러리/동탄)
2022 BAMA (벡스코,부산)
2021 폴란드 한국문화원 수묵놀이전(폴란드한국문화원, 폴란드)
레지던시
2019 (Galerie artpark, 카를스루에/독일)
2012-2014 잠실창작스튜디오/서울
수상경력 및 참여기획
2023 JWart어워드-최우수상(중외제약, 과천)
2021 사조그룹 50년사 삽화작업
2022 백제문양_실감콘텐츠 원화작업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2017 광주화루 10인의 작가-(국립문화아시아전당, 광주)
2016 ICA 세계기록 서울총회 원화작업
2015 아모레퍼스픽 윤조 에센스 설화수, 아트콜라보
2012 겸재정선 내일의 작가-작가상
_
Still rock
• Artist's work on "The Shape" is a work that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shape and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on, and the shape containing time and space.
The work sketches "Muwi" from above through thinking toward order by borrowing shapes such as "Stone, Rock, and Cancer" among the landscapes
that have been inadvertently seen in invisible spaces. In other words, this allows us to reflect on the time and space viewed through this shape,
not just the wind-filled earth, mountains, and trees that exist as cool-looking nature.
• Still rock has this long space-time wrinkle (history) and i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shape and meaning on the canvas,
but also represents the struggle of our lives, which is seen as "cool," and the hidden landscape is not all visible, and we look forward to the next time because it does not stop.
• The small elements of the landscape can be seen in connection with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thinking of the old people,
"出於 form (type comes from intangible)." In order to move this thinking to a flat painting, the artist refined the breathing of the scene,
which had been drawn out, beyond his fingertips so that formability and philosophical thinking could be reflected on the canvas.
• This is an intangible consideration of the form and shape to be put on the canvas, and the tangible comes out of the intangible form and finally returns to the intangible form,
and the presence of 色 comes out of the transparent 色 and finally returns to the absence of color,
and recognizes that the colorlessness underlying this becomes the master and the next thing (客) that exists right in front of him, and tries to capture it in the 'cosmic rock (默巖).
• The artist revealed a simple rock shape along with the shape of water and expressed it as modernity.
• It is a simple-looking composition, but it is a method of stacking and stacking ink that is ground on Korean paper to add strength to the work of controlling the splendor of color based on ink
and strokes to create weight and depth as heavy as time and space. The rock shape is black and black,
but it is based on the curvature of Korean paper created by color and writing power that cannot be defined only by ink.
As more brush strokes were performed on Korean paper as the crystal of ink, a black microcosm was put on the canvas, giving room for space on the background.
• In other words, they maximize the cosmic contrast of creation and extinction, life and death, day and night, emptying and filling, and stacking dozens of modern, ink jokes
It is a work to find newness in the modern and classical world by contrasting the stacking red ink method and space.
_
School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Oriental Painting
Solo Exhibition (29 Times)
2023 韻滿 East Sea 展 (Hanbyeokwon Gallery, Seoul)
2023 妙猫 Odd Cat (Suho Gallery, Seongnam)
2023 Korean Art Lodon (mall galleries, london / England)
2023 Red and Blue (Bae bridge itta space Small Art Museum, Incheon)
2019 泊泫 夢筆 Sangha (Galerie artpark, Karlsruhe/Germany) and many others
Group Exhibition (162 times)
2024 Samryonghwi Narsha (Sanmokhwi Gallery, Busan)
2023 Shindowon Island (Icheon Museum of Art, Icheon)
2023 Chinese zodiac painting exhibition Rabbit (Icheon Museum of Art, Icheon)
2022 Ulsan Art Fair (Ulsa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Ulsan)
2022 Kim Chang-yeol Hommage 展 (Lotte Department Store Suho Gallery/Dongtan)
2022 BAMA (BEXCO, Busan)
2021 Korean Cultural Center in Poland Ink-and-wash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in Poland, Poland)
Residency
2019 (Galerie artpark, Karlsruhe/Germany)
Awards and Participation planning
2023 JWART AWARDS-Best Award (Middle Foreign Pharmaceutical, Gwacheon)
2021 Sajo Group's 50-year history illustration work
2022 Baekje Culture_Examination Content Original Work (National Buyeo Museum, Buyeo)
2017 Gwangju Hwaru 10 Writers-(National Culture and Asia Hall, Gwangju)
2016 ICA World Record Seoul General Assembly Original Work
2015 Amorepus Pick Yoonjo Essence Sulwhasoo, Art Collabo
2012 Gyeomjae Jeongseon Tomorrow's Writer-Writer Award